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

[BOJ Java] 1012 : 유기농 배추 급한 분들을 위한 반례 제안 1 2 3 5 0 0 1 0 1 1 0 2 1 2 답 : 1, 나올 수 있는 Output : 2 요약 : 처음 문제를 볼 때는, 최대 50 × 50 밭이라서, 한칸 한칸 비교하는 식으로 체크하는 로직을 만든다면 시간 복잡도 측면에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. 하지만, 기존 로직에서 계속 오답 처리가 되었다. 나 스스로의 사고력에 갇혀서 반례를 찾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질문 게시판을 보니, 모두 DFS 로 해결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기존에는 DFS 는 Node 들을 만들어 해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. 하지만,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큰 틀에서 DFS를 쓸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확인한 시간이었다. 단순히 어떻게 이런 "배추밭" 에서 DFS를 "잘 활용" 할 수 .. 2023. 1. 1.
[백준 Java] 자바 입력 BufferedReader 사용 백준이 티어 시스템이 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백준을 활용하여 알고리즘 풀이를 하고 있죠? 자바 원툴인 사용자들을 위해서 제가 삽질한 내용을 공유합니다. BOJ 1002 : 터렛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02 맨 처음에는, BufferedReader 의 readLine 을 이용해서 한 번에 받아준 뒤, split 을 하는 방법으로 입력을 받아주면 된다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습니다.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{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 int inputCas.. 2022. 12. 30.
개발 블로그 시작과 그 이유 안녕하세요. 백앤드 개발자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고래밥입니다. 그냥 깃허브에서도 밀고 있는 닉네임이라서 그대로 가져와 보았습니다. 개발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첫 번째 이유는, 백앤드 개발이 프론트엔드 개발과 달리 겉으로 보여지는 결과물이 많이 없기 때문에, 아는 지식들을 차근차근 정리해서 제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생각이 있기 때문입니다. 두번째 이유는, 사람들이 만나는 문제 이슈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저도 불특정 다수의 개발자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어서입니다. 제가 개발하면서 만나는 이슈가 다른 분들께도 나타날 수 있는 이슈가 있을 것이니, 제가 어떻게 해결했는지 그 과정을 소상히 기록한다면 다른 분들께도 분명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입니다. 하루나 이틀에 하나씩 글을 포스.. 2022. 12. 28.